본문 바로가기
금융(경제)/금융시장동향

'20년 2월 21일 전일 국제금융시장 동향

by sinsy 2020. 2. 21.

□ 뉴욕증시 하락 및 미국채금리 하락
(다우 -0.44%, S&P -0.38%, 나스닥 -0.67%, 미국채10Y -4.5bp)


• 중국 밖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부의장 미국 경제 전망은 여전히 좋다고 진단하며 기준금리 인하 기대 차단
- 현 미국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 1.50~1.75%

• 애플, 1.45% 상승하며 전거래일 낙폭 만회

• 필라델피아연은지수 3년래 최고치
- 36.7로 전월 17대비 큰폭 상승(시장 10으로 둔화 예상), 지난 18일 뉴욕 연은은 엠파이어스테이트지수도 호조를 보이며 미국 제조업 경기가 건실함을 보임
- 뉴욕주 이남 펜실베니아, 뉴저지, 델라웨어 지역의 제조업 활동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 0를 기준으로 확장과 위축 가늠

• 다우지수, 수분 만에 400포인트 급락, 어리둥절..
-


 

 
□ 유럽
(독 DAX -0.91%, 프 CAC -0.80%, 영 FTSE100 -0.27%)


•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기업 실적 부담감 작용
- 에어프랑스-KLM, 2∼4월 영업이익이 최대 2억유로 (약 2600억원) 급감할 것이라고 경고

• EU 회원국 영국 부재속 장기 예산안 두고 진통
 
 

□ 기타지표


• WTI: 뉴욕상업거래소(NYMEX) 3월물 $53.78로 전일 대비 0.9% 상승
 - 미국 EIA(에너지정보청), 지난주 미국 원유 재고량 증가폭 41.4만배럴, 시장 전문가 예상 (250만배럴) 크게 하회
 
• 금: 뉴욕상품거래소 4월 인도분 $1,622.50
- 전일 대비 $10.70(0.66%) 상승

□ 21일 국내 시장 전망

• 코스피 및 코스닥 코로나19 확산과 전일 미국시장 영향으로 약세 지속

• 외국인 매수세 지속 및 전일 미국채 금리 하락 영향으로 하락 예상하지만 3년 국고채 금리 이미 기준금리를 돌파 하락 정도는 크지 않을 것, 장단기 스프레드 축소 예상

• 환율역시 안전자산선호로 상승 예상 1,200원 돌파 가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