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경제)/금융시장동향

3월 12일 전일 국제금융시장 동향(기대가 크면 실망도 큰법)

by sinsy 2020. 3. 12.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큰 법이죠. 어제 언급했던 것 처럼 기대감이 오늘 우려감으로 나타나면서 미국증시는 전일의 상승폭을 되돌려 버렸습니다.

러시아와의 원유 생산 감축 합의 기대감이 무너지고 산유국들은 원유 시장 주도권 쟁탈을 위한 전쟁을 시작했습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경기부양책은 실행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어제는 왜 의구심이 없었던 거냐?) 고개를 들면서 시장을 짓눌렀습니다.

거기에 WHO는 전세계인이 코로나19 팬데믹이라고 생각 할때가 되서야 그럼 팬데믹 하자며 뒤늦게 팬데믹을 선언해 버리고 떨어지는 미국 증시에 공포심이라는 무거운 추를 달아줍니다.


□ 미국:  롤러코스터?? 이제는 시소!!
(다우-5.86%, S&P -4.89%, 나스닥 -4.70%, 미국채2Y 0.484% 0.5bp, 미국채10Y 0.817% 7.4bp)

• WHO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 선언 이후 다우지수는 하락폭을 확대

• 사우디에이어 UAE가 증산을 발표하며 미국 증시 하락

• 경기부양책 의구심, 약발은 하루만에 소멸
- 구체화된 부양책 필요, 의회 동의나 입법 절차 제약

골드만 삭스, 코로나19 충격으로 S&P 500 지수 15% 더 추락할 것 경고

• 미 연준, 이틀만에 초단기 유동성 공급 추가 확대
- 환매조건부채권(레포, Repo) 거래 한도 기존 1500억달러에서 1750억달러로 상향

• 미 언론 2009년 이후 시작된 초장기 상세장 종료 평사
- 52주 최고가 대비 20% 이상 하락시 약세장 분류
- 바이바이 황소(강세정 bullish)~~ 안녕 곰(bearish)~~?



□ 유럽 
(독 DAX -0.35%, 프CAC -0.57%, 영 FTSE100 -1.40%, 이탈FTSEMIB 0.33%)

• 영국 영란은행(BOE) 기준금리 50bp인하에도 주가 하락
- QE를 포함 모든 정책 도구에 추가여력 있음 강조
- 내일 ECB 통화정책 회의에서 부양책 기대

• 장 초반 반등을 시도했지만 미국시장이 유가하락 및 코로나19 확산 우려로 하락하면서 유럽시장도 하락반전


□ 상품지표

• 금: 뉴욕상품거래소 4월 인도분 $1,641.30으로 $18 (1.1%) 하락
- 경기 부양책 기대감
- 달러 가치 상승에 따른 금 가격 상대적 매력도 하락
- 미 정부가 코로나19 대응 자금 마련을 위해 금을 매도??

• 뉴욕상업거래소(NYMEX) 4월 인도분 WTI $32.98로 전일 대비 4.0% ($1.38) 상승
- 러시아, OPEC 주도의 원유 감산 합의 '기대감' 소명
- 사우디아라바이 증산에 속도 박차, UAE도 증산 합류

□ 전일(11일) 한국시장
- 예상했던 것 처럼 미국 상승에 연동해서 상승 출발 했지만 예상과 반대로 너무 빠르게 하락 반전 맟 하락 폭을 확대, 장중 코스피지수 1,900선이 무너지기도 했습니다.

- 공매도 규제 확대 첫날임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의 순매도는 이어졌고 그 규모가 다소 감소하긴 해지만 7천억을 넘는 수준에, 전일 순매수 전환했던 기관이 다시 팔자로 돌아서며 개인은 다시 외로운 매수의 길을 갔습니다. 공매도에 대한 정부 정책의 불만은 커져만 가눈 것 같습니다.
(국내에서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지난 1월 20일부터 11일 현재까지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총 9조4천444억원을 순매도)

-채권 금리는 소폭 상승했고 환율은 소폭 하락 했습니다.

□ 오늘(12일) 한국시장 전망
- 조심스럽게 하락을 전망해봅니다. (많은 분들이 힘든시기를 겪고 있기 때문에...) 전일 유럽장 반등실패에 미국장 폭락 영향은 피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 특히 WHO팬데믹 선언과 맞물려 국내 코로나19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다시 확대 되는 것도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

- 멈추지 않는 외국인의 순매도도... 오늘 1,900이 무너지면서 투매가 나오지 않기만을 바랍니다 ㅠㅠ

- 채권금리는 미국 국채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상승 시도 할 것 같지만 그 정도는 여전히 제약적일 듯 합니다. 장단기 스프레드는 확대 예상 합니다.

- 환율은 안전자산 선호로 상승 예상합니다.

- 항상 틀리는 전망이니 믿고 투자는 금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