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경제)/금융시장동향

3월 11일 전일 국제금융시장 동향 (반등? 마지막탈출기회?)

by sinsy 2020. 3. 11.

 어제 아시아는 상승 했지만 유럽은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어 하락 했습니다.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경기 부양 기대감에 약5% 반등 했습니다. 덩달아 국제유가도 러시아의 감산 합의 기대감에 상승하며 낙폭을 만회 했습니다.

기대감이 시장을 움직이는 시기입니다. 기대감이 내일은 실망감으로 바뀌는 상황을 많이 봤기 때문에 당분간은 숏뷰를 유지하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코로나19가 종식되면 경제는 바로 회복 될지도 의문입니다. 이미 각국의 성장동력이 많이 훼손 된 상황입니다. 항공업은 언제까지 이 상황을 버틸 수 있을까요. 여행업도 마찬가지입니다.

더 큰 문제는 세계 각국의 믿음?이 깨져가는 현 상황이 아닐까요? 입국금지 등을 통해 서로에게 불신과 실망감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당연한 조치일 수도 있지만 절차상의 문제가 있을 수도 있고 절차상 문제가 없어도 괜시레 드는 악감정을 통제할 수는 없는 것 같네요.

코로나 19가 종식 된다고 해도 서로간의 벌어진 상처를 봉합하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경기 회복이 더뎌지는게 아닐까 걱정되는 하루 입니다.



□ 미국:  이랬다가 저랬다가 왔다 갔다

(다우4.89%, S&P 4.94%, 나스닥 4.95%, 미국채2Y 0.479% 13.4bp, 미국채10Y 0.743% 24.3bp)

 

 • 10년만기 국고채 금리 14거래일 만에 상승 반전

• 증시 경기 부양 '기대감'에 약 5% 반등

• 트럼프, 연말까지 급여세 면제 또는 영구적 감면안 제시

• 국제유가 폭락으로 타격을 받은 미국 셰일오일 업계를 위한 연방정부 차원의 지원 방안도 검토

 

□ 유럽 
(독 DAX -1.41%, 프CAC -1.51%, 영 FTSE100 -0.09%, 이탈FTSEMIB -3.28%)

 

 • 사이프러스 감염으로 EU모든 국가(27개국) 코로나19 감염

• 유럽 코로나19 확진자 수 약 1만 5000명
- 이탈리아에사 1만명 돌파, 사망자 631명

 

□ 기타지표

 

• 금: 뉴욕상품거래소 4월 인도분 $1,660.30으로 $15.40 (0.9%) 하락
- 경기 부양책 기대감에 증시 반등에 따른 하락


• 뉴욕상업거래소(NYMEX) 4월 인도분 WTI $34.36으로 전일 대비 10.4% ($3.23) 상승
- 러시아, OPEC 주도의 원유 감산 합의 '기대감'
- 알레산더 노박 러시아 에너지장관 "석유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OPEC과 함께 대응에 나서는 방안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 전일(10일) 한국시장

 

- 주식시장이 대책없는 하락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는데 역시나 제 예측은 빗나가고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외국인은 순매도세를 (약 99백억... 그냥 약 1조 규모) 이어갔고 아침에 순매도로 전환했던 개인은 다시 사들이기 시작했으며 주식시장 반등의 주역은 기관이었습니다. 

 

- 11일 부터 3개월간 공매도 과열종목 기준이 완화되고 과열종목 지정시 공매도 금지기간도 10일(기존 1일)로 늘어납니다. 공매도를 한시적으로라도 전면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정부는 업틱룰이 있어서 괜찮다고 하지만 또 업틱룰 예외조항이 많아서 무용지물이라는 의견도 나옵니다.

 

- 채권시장도 보기좋게 제 예측을 벗어나 금리가 상승 했네요... 역시 마이너스의 손... 아시아장에서 미국국채 금리가 상승했고, 트럼프 대통령의 급여세 인하했고 코로나19 대응 경기 부양책을 마련하겠다는 소식 때문인 듯 합니다.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가능한 정책수단을 적극 활용하여 금융안정을 도모해 나가겠다"고 말했지만 대출정책, 공개시장 조작은 언급하면서도 기준금리 인하 시사 발언은 없었던 점도 채권 금리 상승을 유발

 

- 환율도 위와 같은 사유로 리스크on(리스크 선호) 되면서 하락 했습니다... 주식, 채권, 환율 다 틀렸습니다..ㅠ_ㅠ

 

 

□ 오늘(11일) 한국시장 전망

- 주식시장은 미국을 따라 상승 출발하겠지만 점차 상승폭은 반납할 것 같습니다. 특히 서울 콜센터 감염 여파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10시에 정부의 브리핑때 확인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오늘부터 시작되는 공매도 제한이 외국인 순매도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지켜봐야 할 듯 합니다.

- 채권 금리역시 미국시장이 하락을 멈추고 급등한 만큼 영향을 받아 상승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국내 금리는 최근 며칠간 산승 흐름을 보였기 때문에 오늘의 상승 정도는 크지 않을 것 같습니다.

- 환율은 어제에 이어 하락할 것 같습니다.

- 항상 틀리는 전망이니 믿고 투자했다 손실나도 책임 못집니다. ㅎㅎ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