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경제)/금융시장동향

3월 10일 전일 국제금융시장 동향 (블랙먼데이)

by sinsy 2020. 3. 10.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의 한판 승부에 전세계 금융시장이 블랙먼데이를 맞이 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러시아를 다시 원유 감산 테이블로 불러온다는 핑계로 미국의 셰일가스 업체들을 고사시키려는 계획일까요?

 

 

국제유가가 떨어지면 기름 값도 떨어지고 좋은거 아닌가요??라고 단순하게 생각할 수 있겠지만 생각만큼 간단한 문제가 아니더라구요~ 가장 중요한 것은 코로나19로 인한 세계 실물경제 침체를 막기위한 글로벌 공조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다는 점입니다. 공조가 깨졌다는 공포 속에 코로나19가 유럽과 미국에서 확산되다보니 안전자산 선호가 발생하며 주식시장 투매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사실 유가하락은 직접적으로도 주식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셰일업체들의 채산성이 맞지 않기 때문에 적자로 이어질 것이고 해당 셰일업체들이 대출을 받았다면 은행 대출채권의 부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유가하락으로 SK이노베이션 같은 정유업체들이 영향을 받는 것은 물론 유조선 및 시추선을 건조하는 조선업의 불황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가 유발한 국제유가하락이 유발한 글로벌 금융시장의 공포가 언제까지 지속될까요??

 

□ 미국:  뉴욕증시 2008년 이후 최악의 폭락

(다우 -7.79%, S&P -7.60%, 나스닥 -7.29%, 미국채2Y 0.345% -12.3bp, 미국채10Y 0.501% -20.8bp)

 

S&P500 지수 장 시작과 동시에 폭락하면서 4분만에 '서킷브레이커' 발동, 1997년 이후 처음

    (서킷브레이커: 주식시장이 갑자기 폭락한 경우 거래를 중단시켜 투자자들에게 냉정함을 찾을 수 있도록하는 제도)

 

전주말 OPEC과 러시아의 원유 추가감산 합의 불발에 따른 국제유가 폭락

  - 트럼프, 국제유가 급락, 소비자들에게 좋아... 증시 하락 가짜뉴스 탓....??????????????????????????

  - 트럼프는 자기가 대통령으로 있는  국가가 산유국임을 잊고 있는건가요?? 셰일가스 업체는 어쩔려구..?

 

WHO "코로나 19 팬데믹 위협 매우 현실화됐다."  

 

연준, 레포 운영 규모 대폭 확대하며 위기 대응모드 전환(유동성 공급 확대)

  - 1일물(오버나이트) 환매조건부채권(Repo, 레포) 거래 한도를 12일 까지 1천억달러에서 1천500억달러로 확대

 

 

 

□ 유럽
(독 DAX -7.94%, 프CAC -8.39%, 영 FTSE100 -7.69%, 이탈FTSEMIB -11.17%)

 

• 코로나19 확산 지속과 국제유가 폭락 충격의 컴비네이션

 

이탈리아, 이동 제한 전국으로 확대

 - 업무와 비상상황을 제외하고는 국민들 외출 금지, 세리에A 등 모든 스포츠경기 중단

 

 

□ 기타지표 

 

• 금: 뉴욕상품거래소 4월 인도분 $1,675.70으로 $3.3 (0.2%) 상승 


• 뉴욕상업거래소(NYMEX) 4월 인도분 WTI $31.13로 전일 대비 24.59% ($10.15) 하락
 - $60.41('19.12월말) → $51.68('20.1월말) → $44.76('20.2월말) → $41.28(3월6일) → $31.13(3월9일)




□ 전일(9일) 한국시장

 

 전일 한국 주식시장은 4% 낙폭을 보였습니다. 그 원인은 역시 국제유가 하락입니다. 외국인은 역시 순매도를 기록했고 순매도 금액은 역대 최대인 1.3조입니다. 그 대부분의 물량을 개인이 받았다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 입니다. 개인이 언제까지 순매수를 이어갈 수 있을까요? 

2020년 외국인, 개인, 기관의 일별 순매수, 순매도 현황

 

미국 국채금리가 기록적인 수준으로 낮아진 영향으로 국내 채권금리도 하락했습니다. 장중 국고채 3년금리가 상승 반전하기도 했지만 결국 하락 마감했습니다. 장중 지표물은 1.0% 이하로 내려가기도 했습니다. 국고채 10년은 금리가 11bp가 빠지면서 장단기 스프레드는 축소 되었습니다. 

 

 

□ 오늘 한국시장 전망

 

- 주식시장은 대책없는 하락세를 이어갈 것 같습니다. 전일 미국장에서 어떤 반전이 있기를 바랬지만 반전은 없었습니다. 금융당국이 긴급하게 공매도를 금지 시킬 것인지가 관건입니다. 

 

- 채권시장의 금리는 계속 하락 시도하겠지만 한은이 아직은 인하스탠스르 밝히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하락 폭은 크지 않을 듯 합니다. 3년물 지표 기준으로 계속 1% 아래 쪽을 두들기려고 할 듯 합니다. 장단기 스프레드는 조금더 축소 될 듯 합니다.

 

- 환율은 상승할 듯 하네요~

 

- ETF 레버리지 등을 분할 매수 해보면 어떨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