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준금리 0.25%p를 만장일치로 인하 했습니다.
아래는 총제 자회견 기억나는 대로..
- 왜 7월이 아니고 5월이냐는 질문에는 경제 서장률 마이너스가 예상되는 등 다급해서
- 실효하한에 더 다가섰고 만약 미국이 마이너스 금리로 가면 실효하한은 더 낮아저서 통화정책 여력이 생겠지만 연준이 그러지 않늘 듯
- 금리 인하로 발생할 자산 가격(부동산) 상승 등으로 인한 빈부의 격차 같은 것들은 생각 안했는지?? 지슴은 그런걸 생갇할 겨를이 없는 상황. 위기가 오면 우선 저소득층이 제일 먼저 타격을 받기 때문에 일단 통화나 재정정책을 다 동원해서 경제 성장을 해야함. 부자가 더 잘살게 되더라도 당장 저소득층 죽는 것을 막는게 시급?
- 국채 단순매입 관련해서는 원론적인 이야기만. 추경으로 인한 수급 문제로 장기금리가 오르면 매입을 하겠지만 언제 얼마나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답하지 않음 정례화에 대해서도 그냥 필요할 때 하겠다는 늬앙스
- 홍콩보안법 통과되고 미중갈등 심화되면 위완화 변동에 따라 원화 환율도 오를텐데.... 주시하고 있다.. 잘 대응 하겠다.
- 최근 실물경제는 바닥으로 가는데 주식시장은 산으로 가는 등 실물경제와 주식시장 디커플링 현상이 있는데 원인은? 와.. 너무 원론 적이어서..
1. 많은 국가들이 경기부양위해 적극적으로 통화 재정정책 사용
2. 주요 선진국들 경제활동 재개
3. 백신개발 기대감...
유튜브로 기자회견 하는데 방송 상태가영....
한은씩이나 되는데...
어쨌든 동결 분위기라고 생각했는데,
인하를 했고 뒤이어 코로나19 확진자가 기름을 부으며 불을 지폈는데
총재님이 매입계획을 구체적으로 말하지 못하면서 채권 시장은 다소 주춤하고 있습니다.
'금융(경제) > 금융시장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5.30) 트럼프, 홍콩 특별대우 제거 절차 시작 (8) | 2020.05.30 |
---|---|
(5.29) 트럼프 중국 맘에 안들어.. 오늘(금) 기자회견 소식에 미국증시 급 반락 (3) | 2020.05.29 |
(5.28) 올라라- 덜 오른거 올려라~(오늘 한국은행 금통위 예정) (0) | 2020.05.28 |
(5.27) 연휴를 마치고 돌아온 트럼프의 입은?? (4) | 2020.05.27 |
(5.26) 미국은 쉬는 사이.. 유럽과 아시아가 달렸다! (2) | 2020.05.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