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오늘(29일 금) 기자회견 예정
- 중국 맘에 안든다.. (전인대 홍콩보안법 압도적 가결)
- 홍콩의 특별지위 박탈에 따른 금융허브 위상 변화 주목
트럼프 금요일 中 관련 기자회견…뉴욕 증시 반락 - 연합인포맥스
(뉴욕=연합인포맥스) 오진우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금요일 중국 문제 관련 기자회견을 할 예정이라는 소식이 나오면서,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가 상승 폭을 줄이고 있다고
news.einfomax.co.kr
• 미국 주간 실업보험 청구 건수 약212만건을 기록
- 전 주 244만 보다는 감소했지만 아직 주간 200만명 이상
- 실업보험을 일주일 이상 청구한 사람 감소 - 일부는 경제 재개 후 일터로 돌아가고 있음
• 트럼프, 결국 SNS 행정명령 서면 후속 입법 추진
- 중국한테 뭐라 하면서 본인이 SNS 통제를.....?
- 항간에 우스갯 소리로 떠도는 트럼프 치ㅁ..ㅐ..ㄱ 드세요
• 어제 한국은행 25bp기준금리 이하에도 10년 국고채 금리가 오르는 기현상..
- 이주열 총재 기자간단회서 국고채 단순 매입관련 구체적 계획 함구 하며 시장은 실망
(5.28) 금통위 기준금리 25bp 인하한 0.50% 결정(만장일치)
- 기준금리 0.25%p를 만장일치로 인하 했습니다. 아래는 총제 자회견 기억나는 대로.. - 왜 7월이 아니고 5월이냐는 질문에는 경제 서장률 마이너스가 예상되는 등 다급해서 - 실효하한에 더 다가섰
sinsy.tistory.com
--------
어제 뉴욕증시는 중국이 홍콩보안법을 통과시켰음에도 경제정상화 기대감만 뒤 쫓으며 상승출발 했습니다.
물론 장 전 및 장초반 트럼프나 언론이 의외로 홍콩보안법 관련 조용한 면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새벽 4시경 속보가 뜨면서 미국 주식시장은 곤두박질쳤습니다. 트럼프가 중국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며 기자회견을 갖겠다는 기사였습니다.
트럼프 기자회견이 어떤 내용일지 설마 최악의 내용이 정말 트럼프 입에서 나올지... 알수 없기에 위험회피가 급 퍼지면서 투자자들의 주식시방 투매가 나왔습니다.
(이건... 아시아시장 유럽시장까지 이어질 듯 합니다ㅜ)
아.. 중국 인민군 관련 대학 나온 유학생 비자 거부가 아니라 이미 발급되 비자 취소를 검토중이라내요...ㅎㄷㄷ
--------
미국채시장은 만기 구간별로 방향을 달리했습니다.
2y : 0.176% (-0.6bp)
5y : 0.340% (+0.2bp)
10y: 0.703% (+2.6bp)
30y: 1.461% (+3.1bp)
지난주 주간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시장 예상보다는 많았지만 증가세 둔화에 드디어 채권시장도 마음이 동했나봅니다.
1분기 미국 GDP성장률 잠정치는 -4.8%속보치에서 -5.0% 으로 조장 됐지만 시장은 지나간 과거는 별로 신경 안쓰는 듯 합니다.
4월 내구재 수주도 코로나19 여파로 17.2% 급감, 기업 투자도 큰 폭 감소했으나 모두 예상된 부분이라며 무시, 4월의 지표들이 모두 저점일 거라는 희망이 있는 듯 합니다.
어제 수익률 곡선 제어(YCC) 정책 사용을 고심하고 있다고 언급해 미 국채시장에 영향을 미쳤던 뉴욕 연은 총재가 오늘은 연준 조치로 경제가 반등하겠지만 과열 위험은 없다는 예상 수준의 발언을 내놓음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전일 국채 수익률이 이미 너무 낮아서 수익률 곡선 제어 정책은 의미가 있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 했다네요..
하지만 채권 시장 마감 후 트럼프가 기자회견을 발표 하면서 10년 물은 0.7% 아래로 내려왔습니다.
------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한 달러 인덱스는 전장보다 0.50% 내린 98.513로 최근 두 달 사이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기자회견 발표 전 장 마감.
미국 원유 재고가 전망과 달리 늘었음에도 7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배럴당 0.90달러(2.7%) 상승한 33.71달러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 트럼프 기자회견 반영 안된..
-------
■ 29일(금) 한국시장 전망
- 금주의 마지막 날이자 5월의 마지막 날입니다. 5월에 주가는 하락한다는 속설을 잘 이겨내며 여기까지 왔는데, 오늘이 고비 입니다.
- 어제 한국시장은 금리인하를 반영하며 장중 1% 넘게 상승하기도 했지만 경제 성장률 전망 -0.2%로 수정 되며 주춤 하더니 코로나19 확진자 급증, 그리고 중국의 홍콩보안법 관련 우려가 부각되며 하락 반전 했지만 마지막에 약보합 수준까지 회복 했습니다. 의외로 외국인과 기관이 순매수 했내요..
- 오늘 트럼프 기자회견 내용 불확실성에 미국서 수입된 위험회피가 한국 증시를 끌어내릴 것 같습니다. 하필 뒤에 주말이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은 불확실성 제거를 위해 현물 주싣을 정리 하던지.. 아니면 선물을 매도하던지 어떤 방법으로든 주가는 하방 압력을 받을 듯 합니다. 주말은 맘 편한게 최고이니까요.
- (제가 떨어진다 해야 오르니...) 코스피는 1980 까지도 위협 받을 것으로 생각 됩니다. 악재가 동시에 찾아오내요. 하나씩 올땐 희망 회로가 잘 소화했는데... 코로나 확진자와 트럼프 입이라니..
- 7:30 현재 미선물 및 국제유가는 소폭 하락 중입니다.
- 채권 금리는 오늘 전 구간 강세, 특히 장기물이 강세를 보일 듯 합니다. 어제 기준금리 인하에도 3녀 구간은 그냥 강세장 정도, 5년은 보합, 10년은 금리가 상승하는 기 현상을 봤습니다. 이주열 총재의 계획 없음?에 실망 했지만 오늘은 정신차리며.. 어제 기준 금리가 내렸는데 우리가 왜그랬지 하며 금리는 내려갈 듯 합니다. 한은의 국챠 단순 매입에 대한 기대감은 다시 차츰 살아날 듯 합니다.
- 코로나19 확진자 증가, 트럼프의 기자회견 예정도 위험회피를 자극하며 채권시장 강세를 견인 할 듯 합니다.
- 환율은 글로벌 달러 약세에도 불구하고 위험회피가 강햐지며 상승할 듯 합니다. NDF시장서 1.5원 하락 마감했지만.. 오늘도 3~5원까지 상승 전망해봅니다.
■ 미국과 중국이 싸우면 등터지는 건 우리 ㅠㅠ 서브웨이 쉬림프 샌드위치가 맛이 없더라니...
'금융(경제) > 금융시장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6.1) 짖기만 하고 물지는 않은... (9) | 2020.06.01 |
---|---|
(5.30) 트럼프, 홍콩 특별대우 제거 절차 시작 (8) | 2020.05.30 |
(5.28) 금통위 기준금리 25bp 인하한 0.50% 결정(만장일치) (2) | 2020.05.28 |
(5.28) 올라라- 덜 오른거 올려라~(오늘 한국은행 금통위 예정) (0) | 2020.05.28 |
(5.27) 연휴를 마치고 돌아온 트럼프의 입은?? (4) | 2020.05.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