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일 미국 증기는 5%넘는 상승을 했습니다.
이제 5%정도는 폭등이나 폭락이라는 단어가 어울리지 않네요.
예전에는 다우지수 2%만 떨어져도 폭락이라며 호들갑 떨고는 했는데... 지금 2%는 그냥 보합권으로 느껴지네요..
어쨌든 간밤 미국증시는 기술적 반등으로 상승 출발 했2만 장 초반 하락 반전 했습니다. 그러자 연준은 CP(기업어음, 기업이 단기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 매입을, 트럼프 행정부가 약 1조달러 구모의 경기부양책 패키지를 내놓으면서 상승 마감 했습니다.
1조달러면 지금 환율로 1,200조원이 넘는 건가요??
(어제 한국의 추경안은 11조원이었는데 역시스케일이 다르군요)
주목할 점은 CP매입입니다. CP매입은 2008년 금융위기때 한번 있었던 조치인데 기업이 단기적으로 상환능력이 떨어져 가고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즉 기업의 부실로 인한 신용등급 하락으로 CP가격이 하락 되거나 아예 유통자체가 안될 수도 있고 심하면 만기에 상환이 안될 수도 있죠. 투자자입장에서는 손실을, 기업입장에서는 상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조치이긴 하지만...
결국 한계기업에게 산소호흡기를 대주는 것 입니다.
어쨌든 시장은 이번 조치들에는 조금은 만족을 했는지 반등을 보였습니다. 이제 바턴은 아시아증시가 이어 받았습니다.
□ 미국
(다우 5.2%, S&P 6.00%, 나스닥 6.23%, 미국채2Y 0.453% 9.3bp, 미국채10Y 0.994% 27.2bp)
•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시행했던 긴급 대출 프로그램인 프라이머리딜러 신용창구(PDCF)를 도입
- 시중 유동성을 원활히 유지하기 위해 프라이머리 딜러가 시중은행과 동일하게 연준으로부터 직접 대출
• 연준은 CPFF(기업어음매입기구) 설립, 3개월물 달러 표시 CP와 ABCP(자산유동화기업어음) 매입 예정
- 초 1조원 달러 어치의 CP 매입 여략 보유
•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 상원 공화당 의원들에 1조 달러에 달하는 재정 부양 패키지를 제안
- 국민들에 대한 직접적인 현금 보조 방안도 포함
• 달러화 가치 상승
- 전 세계 금융시장이 혼란을 겪고 경제 폐쇄 조치가 잇따르자 달안전자산인 달러 수요 폭발
- 대규모 재정 부양 기대에 증시 반등 및 10년물 국채 금리가 1% 가까이 회복한 점도 달러 강세에 일조
□ 유럽:
(독 DAX 2.25%, 프CAC 2.84%, 영 FTSE100 2.79%, 이탈FTSEMIB 2.23%)
• 유럽경제연구센터(ZEW) 3월 경기기대지수 -49.5
- 2월 8.7에서 60포인트 가까이 급락(월가 예상 -30)
- 1991년 조사 시작 이후 가장 큰 낙폭
• 영국 재무부, 3천300억 파운드 규모 대출 보증 방침 발표
• 영란은행(BOE) CP 매입을 통해 기업 유동성 지원
□ 상품지표
• 국제 금값: 뉴욕상품거래소 4월 인도분 $1,525.80으로 $39.3 (2.6%) 상승
-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추가 부양책 발표로 6거래일 만에 상승 전환
- 달러가치가 상승하면서 상대적인 가격 매력이 하락
• 국제 유가: 뉴욕상업거래소(NYMEX) 4월 인도분 WTI $26.95로 전일 대비 6.1% ($1.75) 하락
-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수요 부족, 원유 감산 합의 실패 후 사우디와 러시아의 '원유 전쟁'으로 인한 공급 초과
- 골드만삭스는 올해 1분기 WTI는 배럴당 22달러, 브렌트유는 배럴당 20달러까지 하락 전망
□ 전일(17일) 한국시장
- 생각보다 아시아 증시의 주식 하락폭이 크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코스피시장에서 외국인은 1조원 어치 순매도를 했습니다. 장 후반 추경 규모가 11조원으로 발표 되면서 실망한 매물이 나오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채권 시장은 주식시장보다 더 변동성 큰 장세를 보였습니다. 장 초반 3년물 채권이 강세를 보이고 10년물이 상대적으로 강세가 약했는데, 점심 이후 어느 순간 장기물 금리가 더 크게 하락했습니다.
- 환율은 장중 슬금 슬금 레벨을 올리더니 장 후반에 갑자기 치솟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주식시장 마감 동시호가때 외국인이 1400억을 매도 했음에도 환율이 하락하며 상승폭을 다소 축소하긴 했지만... 많이 올랐습니다.
□ 오늘(18일) 전망
- 어제와 같은 흐름을 보일 것 같지만 현재시간 미국 선물이 하락 하는걸 봐선... 추경규모도 실망이고, 외국인 매도세도 강력하고.. 상승은 어려울 것 같다고 말하면 또 상승하겠죠??ㅠㅠ
- 채권시장은 미국 금리 상승 여파를 반영하며 상승하겠지먼 제한적일 듯 합니다.
- 외환시장은 전일의 상승에 대흔 기술적 반락의 힘과 외국인의 순매도 힘이 부딪히면서 강보합을 보일 듯 합니다.
주의) 전망은 항상 틀리니 믿지 마세용~~
'금융(경제) > 금융시장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미 통화스와프는 누구를 위함일까? (외국인은 비싸진 주식을 팔고 저렴해진 달러를 사서 한국을 떠났다...음모론...?) (6) | 2020.03.21 |
---|---|
(3.19) 전세계 중앙은행의 눈물 겨운 사투 (미국 및 유럽증시 일단 진정, 날뛰는 달러는 우찌 잡나...) (2) | 2020.03.20 |
3월17일 오전 금융시장 동향 (코스피와 엔달러 환율 동조) (5) | 2020.03.17 |
(3.17) 전일 금융시장 동향 및 전망 (백약이 무효, 유럽증시 폭락, 미국증시 폭락-서킷브레이커가 장난이냐, 블랙먼데이 또?) (0) | 2020.03.17 |
한국은행 기준금리 0.5%p (50bp)인하 (기준금리 0.75%) (6) | 2020.03.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