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간으로 3월23일 밤 9시(미국 장 시작전) 미국 연준이 국채 및 모기지증권 매입 규모를 무한대로 확대(기존 7천억달러) 할 것을 전격 발표, 또한 회사채 시장에도 개입하겠다고 발표 했습니다.
할 수 있는건 다 했더고 하더니 아직 할 수 있는게 남았었네요. 아주 유동성을 쥐어짤 수 있는대로 쥐어짜서 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금융위기 후 뿌렸던 유동성도 다 회수하지 못한 상태로 알고있는데 이렇게 유동성을 무제한 공급하면 앞으로 무슨일이 벌어지는 걸까요. 아니 대체 그 많은 돈은 어디로 굴러가고 있는 건가요??
어딘가 돈을 빨아드리고 있는 블랙홀이 있지 않고서야.. 아마도 그 동안의 미국 경제가 버블이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부실하게 외형만 키워온 경제의 구멍이 하나 둘 보이기 시작하고 코로나19가 트리거가 되서 터지려하는 버블을 막고자 돈을 투입하지만 버블인 돈을 꿀꺽하고 펑하고 터지고 있는 건 아닐까요??
어쨌든 연준의 발표 후 유럽증시는 잠시 상승 했지만 다시 제자리로 돌아왔습니다. 미국 증시는 소폭 하락 출발 후 상승 시도 하긴 했지만 미국 부양책이 상원에서 통과되지 못해 롤러코스터를 타다가 하락 마감 했습니다. 나스닥은 상보합 마감을 했네요..
그나마 유럽 및 미국 증시가 변동성이 줄어든 듯 합니다. 사람들이 패닉에서 하나 둘 빠져 나오는 중이라는 희망을 걸어봅니다. 물론 패닉이 끝났다고 해서 하락세가 끝났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하루에 5% 이상을 쉽게 왔다갔다 하는 것이 아니라 잔잔히 하락 하겠죠....
□ 미국
(다우 -3.04%, S&P -2.93%, 나스닥 -0.27%, 미국채2Y 0.312% -5.05bp, 미국채10Y 0.772% -16.0bp)
• 미 연준의 국채 및 MBS 무제한 매입을 발표한 반면 부양책은 의회에 머물면서 채권 시장은 강세
• 위기에 대처하는 연준의 자세
- 국채 및 모기지담보부증권(MBS) 매입 규모를 무한대로 확대한다고 전격 발표했다. 당초 매입규모는 7천억 달러
- 이번 주에만 3천750억 달러의 국채를 사고, MBS는 2천500억 달러 매입할 계획.
- 소비자와 기업 신용시장을 지원하기 위해 3개의 새로운 대출 기구를 발표
1) 프라이머리 마켓 기업 신용 기구(PMCCF)
2) 세컨더리 마켓 기업 신용 기구(SMCCF)
- 기업에 대한 대출 등과 함께 회사채 매입 등을 수행하기 위한 기구로 회사채 시장 지원을 통해 대규모 채용을 창출하는 기업을 돕기 위함. 프라이머리 마켓은 발행시장, 세컨더리 마켓은 유통시장을 각각 의미
3) 자산담보부증권 대출창구(Term Asset-Backed Securities Loan Facility) 도입
- 신용카드대출 담보부 증권이나 자동차 대출 담보부 증권 등 소비자 신용 관련 증권을 매입
• 보잉, 워싱턴주 공장 가동 2주간 중단 (보잉 직원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사망 영향)
• 제너럴일렉트릭(GE), 항공 사업 부문인 GE 에이비에이션은 코로나19에따른 경제적 충격 완화 위해 미국 직원 10% 감원 발표
□ 유럽:
(독 DAX -2.10%, 프CAC -3.32%, 영 FTSE100 -3.79%, 이탈FTSEMIB -1.09%)
• 미 연준의 무제한 양적와화 발표로 하락하던 증시가 급반등 했으나 그 효과는 한시간... 빙산의 일각 만큼 상승 반전 후 다시 하락
• (독일) 위기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 1천560억 유로(211조9천300억 원)의 추가경정예산안 이번주 상하원 의결 '예정 '
- 1천억 유로(135조8천500억 원) 규모의 경제안정화기금(WSF) 마련안 처리. 경영 위기에 처한 기업의 주식을 직접 취득하기 위한 기금으로, 기업이 외국 자본에 인수되는 것을 방지
- 독일 정부는 또 독일재건은행(KfW)에 1천억 유로(135조8천500억 원)를 투입, 신용 위기에 빠진 기업지원
- WSF 기금은 4천억 유로(543조4천200억 원) 규모로 기업을 상대로 은행 대출 '보증' 제공
• 누적확진자 / 확진자증가 / 누적사망자 / 사망자증가
- (영국) 6,650명 / 967명 / 335명 / 54명
- (이탈) 63,927명 / 4,789명 / 6,078명 / 602명
- (스페) 33,089명 / ???명 / 2,182명 / 462명
□ 상품지표
• 국제 금값: 뉴욕상품거래소 4월 인도분 $1,567.60으로 $83 (5.6%) 상승
- 연준의 무제한 양적완화 등 추가 부양책 발표로 급등
• 국제 유가: 뉴욕상업거래소(NYMEX) 5월 인도분 WTI $23.36로 전일 대비 2.0% ($0.73) 상승
- 연준이 무제한 양적와화에 들어서면서 투자심리가 다소 개선??
□ 전일(23일) 한국시장
- 생각보다 주식시장이 잘 버텨준 하루였습니다. 하지만 말 그대로 버티기만 한거였죠. 외국인의 순매도는 여전히 이어졌습니다.
장 막판에 이상한 움직임이 있었는데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고 미국선물이 상승하는데 코스피가 하락하는 난해한 상황이 있었습니다.
- 채권 시장 금리는 상승했고 장단기 스프레드는 확대 되었습니다.
- 환율은 역시나 상승 했지만 무언가 강한 힘이 내리 누르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습니다.
□ 오늘(24일) 전망
- 유럽과 미국시장이 다소 안정을 보였고 현재시각 8시 20분 미국 선물 시장이 2% 이상 상승 중으로 오늘 주식시장은 기술적 반등을 보일 것 같습니다.
오늘 정부의 2차 비상경제 회의가 있으니 뭔가 대책으 나올테고 그걸 빌미삼아 오늘 하루는 반등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외국인은 매도를 하겠죠??
- 채권시장은 전일 미국채금리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을 반영 하락할 것으로 보입다.
- 연준의 대책 폭탄 이후 달러가 다소 약세를 보였기에 오늘 원달어 환율은 하락 시작 하겠지만 강보합으로 마감할 것 같습니다.
- 증시안정 펀드와 채권시장안정펀드가 언제 집행 될지도 지켜봐야 할 듯 합니다.
'금융(경제) > 금융시장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6 전일 동향) 부양책 합의?? 표결이 남아?? 타결 임박이라며.. (7) | 2020.03.26 |
---|---|
(3.25 전일 동향) 전세계 주식시장 폭등 (미국 주식시장 폭등 1933년 이후 최대) (8) | 2020.03.25 |
(3.23) 한 주의 시작을 하한가(미국선물)와 함께... (5) | 2020.03.23 |
한미 통화스와프는 누구를 위함일까? (외국인은 비싸진 주식을 팔고 저렴해진 달러를 사서 한국을 떠났다...음모론...?) (6) | 2020.03.21 |
(3.19) 전세계 중앙은행의 눈물 겨운 사투 (미국 및 유럽증시 일단 진정, 날뛰는 달러는 우찌 잡나...) (2) | 2020.03.20 |
댓글